본문 바로가기

청맥서점/2020년대

이방인 - 알베르 카뮈, 1942

  한국에 다녀오면서 사온 책. 서점에서 우연히 눈에 들어온 책의 제목이 미국에서 지내면서 느끼는 나의 감정과 닿아서 집어 들게 되었다. 카뮈가 알제리 태생 프랑스인이여서 문화의 차이로 인한 "이방인"을 의미할 줄 알았는데, 그가 말하는 이방(Strange)은 보다 광범위한 의미 - 관습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부조리를 다룬다. 발간 당시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고 하니, 현대의 눈으로 근대(1942년) - 특히 실존주의 -를 바라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소설은 해학적인 면모와 사회 비판적인 면모, 궁금증을 자아내는 진행을 두루 갖추고 있어서 읽다보면 책을 놓고 싶지 않게하는 맛이 있었다. 해학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소설은 전반적으로 좀 암울하다. 1940년대의 카뮈에 전적으로 동의할 수는 없지만, 개인의 자유를 존중하는 현대라 하더라도 세상의 관습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는 점에서 한번 더 생각해볼 수 있게 해줬다. 개인이라는 서로 다른 세상이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필요한 관습, 그리고 페르소나. 적당한 수준은 어디쯤에 있을까?

 

그의 신념이란 건 죄다 여자의 머리카락 한 올만도 못해.
그는 죽은 사람처럼 살고 있으니, 살아 있다는 것에 대한 확신조차 없는 셈이지...

 

  그(신부)는 어지간히도 자신만만한 태도군, 안 그래? 그러나 그의 신념이란 건 죄다 여자의 머리카락 한 올만도 못해. 그는 죽은 사람처럼 살고 있으니, 살아 있다는 것에 대한 확신조차 없는 셈이지. 나를 보면 맨주먹뿐인 것 같겠지. 그러나 내겐 나 자신에 대한, 모든 것에 대한 확신이 있어. 신부 이상의 확신이 있어. 나의 삶에 대한, 닥쳐올 그 죽음에 대한 확신이 있어. 그래, 내겐 이것밖에 없어. 그러나 적어도 나는 이 진리를 굳세게 붙들고 있어. 그 진리가 나를 붙들고 놓지 않는 것만큼이나. 내 생각은 옳았고, 지금도 옳고, 또 언제나 옳아. 나는 이런 식으로 살았ㅇ고, 다른 식으로 살 수도 있었어. 나는 이건 했고 저건 하지 않았어. 나는 어떤 일은 하지 않았는데 다른 일은 했어. 그러니 어떻다는 거야? 나는 마치 저 순간을, 나의 정당성이 증명될 저 신새벽을 여태껏 기다리고 있었던 것만 같아. p.145

 

  사람은 누구나 다 특권 가진 존재야. 세상엔 특권 가진 사람들밖에 없어. 다른 사람들도 역시 장차 사형 선고를 받을 거야. p.146

 

  [이십오년 타향 생활 끝에 돈을 벌고 돌아온 아들이 신분을 밝히지 않고 재산만 보여주자 못 알아보고 밤에 살해한 여관집 주인(엄마)과 딸(누나) 이야기]  한편으로 그것은 있을 법하지 않은 이야기였다. 또 한편으로는 자연스러운 이야기였다. 어쨌든 내가 볼 때 그런 결과에 대해서는 여행자에게도 좀 책임이 있었으며, 그리고 장난을 치면 절대 안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p.100

 

  감옥에 있으면 시간 개념을 잃게 된다는 것을 나도 분명히 읽은 적이 있었다. 그러나 나에게는 그런 얘기가 별로 의미가 없었다. 하루하루의 날들이 얼마나 길면서도 짧을 수 있는지 나는 예전에는 미처 깨닫지 못했던 것이다. 하루하루는 지내기에는 물론 길지만, 하도 길게 늘어져서 결국 하루가 다른 하루로 넘쳐 나고 말았다. 하루하루는 그리하여 제 이름을 잃어버리는 것이었다. 어제 혹은 내일이라는 말만이 나에게 의미가 있었다. p.100

 

  [법정 안 재판이 시작되기 전] 그 순간 나는, 모든 사람들이 서로 만나고 말을 걸고 대화를 나누는 것이 마치 같은 세계의 사람들끼리 서로 만나서 즐거워하는 어떤 클럽에라도 와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 내가 남아도는 존재라는, 좀 불청객 같다는 기묘한 느낌 또한 납득이 되었다. p.104

 

  "이것이 바로 이 재판의 모습입니다. 모든 것이 다 사실이고 어느 것 하나 사실인 게 없습니다." p.112

 

  모든 것이 나의 참여 없이 진행되었다. 나의 의견을 묻는 일 없이 나의 운명이 결정되고 있었다. p.121

 

  [사제가 개심을 요구할 때] 나는 죄가 무엇인지 모른다고 말했다. 내가 죄인이라는 것을 남들이 나에게 가르쳐 주었을 뿐이었다. 나는 죄인이었고, 죄의 대가를 치르고 있었고, 나에게 그 이상을 요구할 수는 없었다. p.1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