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펌] 바로크 음악을 대표하는 두 작곡가, 바흐와 헨델 오늘 서양음악사 두번째 시간으로 그레고리언 챈트와 바로크 음악의 특징 그리고 바흐에 대해서 배웠다. 아래글은 바흐와 헨델을 비교해서 잘 정리해 놓은 글이 있어서 가져왔다..(원문) 교수님은 '바흐'는 음악가로서 뿐만아니라 스무명이 넘는 자녀를 둔 검소하고 독실한 기독교인인 아버지로서도 훌륭했다는 점, 그리고 그 당시에는 그다지 인기가 높지는 않았고 후대에 재평가되었다고 이야기 해 주셨는데, 아래 글을 읽어보니 왜 그랬는지 한층 이해가 간다. 추가적으로 바로크 음악에 대한 설명도 스크랩...(원문) -------------------------------------------------------------------------------------- 바로크 음악이라고 하면 대체로 극음악이 탄생한 1600.. 더보기
[펌] 아름다운 클래식 기타의 명곡들.... 요즘 클래식 음악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우연히 찾게 된 글..... 고려대학교 화학 및 생명공학과(Department of Chem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강정원 교수님이 개인적으로 남기신 글인데 참 인상적이다......클래식을 사랑하는 공학도시랄까....^^ http://mdl.korea.ac.kr/zbxe/classic/397/page/2 ----------------------------------- 기타는 오랜기간동안 인류의 사랑을 받아온 악기다. 우리가 클래식이라고 부르는 음악들이 바로크시대를 시작으로 300-400년 밖에 누려오지 못한 음악이지만 이전의 중세나 로마시대, 중국 등 이전의 문명시대에는 류크, 기타라, 비파 등 기타와 유사한 악기들이 많이 연주되었.. 더보기
너는 특별하단다 " 더보기
연비 향상 방법 연비향상 - 경제속도80키로와 급출발,급가속,급제동과의 관계...그리고 연비 향상안 아래의 그림은 엔진의 출력에 관한 그래프이고 아래 그래프를 바탕으로 연료소비율(연비)와 경제속도와의 관계를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경제속도 80키로는 과연 몇 rpm(이후한글로)일까요? 제가 알기로 대부분의 차종은 2000~3000알피엠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림에서 여러가지 그래프 곡선이 있는데 축출력과 연료소비율이란 부분의 그래프를 보시면 연료소비율이 급격히 상승하는시점이 대략적으로 3000알피엠부근입니다. 그러면서 축출력의 상승곡선에서 갑자기 완만한 상승을 이루는곳도 3000알피엠부근이라는거죠. 출력이상승이 더이상 효율면에서 떨어진다는거죠 그러면서 연료소비율은 엄청치솟고 그렇기때문에 80키로를 지키라는겁니다. 저그림은 보편적.. 더보기
Wiimote IR Drums 제작기 - 2 (ver 0.2) 오늘 드디어 시간을 내서 Foot 부분의 IR LED 파트도 구성했다. 구성은 Wiimote 2개 ( Hands용 1개, Foots용 1개), 4개의 IR Sensor 그룹 ( Stick 2개, Foot 2개 ) 우선은 급한대로 간단하게 구성을 하고 테스트~~ 그런데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했다..... CPU가 80%~90%에 육박하는 것이였다.. Core2Duo 2.0GHz 임에도 불구하고 부하를 견뎌내지 못했다. 프로그램에서 우선 부하가 될만한 부분들(Graphic쪽) 손을 좀 보고 다시 해봤지만 여전히 간당간당.... 아무래도 라이브러리의 문제인 듯 싶다. Wiimote가 두대가 되면서 발생하는 문제인 듯.... 그래도 실행해보니 Latency는 Graphic 쪽만 발생하고 소리는 잘 났다...... 더보기
Tommy Emmanuel - Classical Gas, Somewhere Over the Rainbow, ?? 어쿠스틱 기타의 한계는 어디일까? 그보다는 인간의 한계는 어디일까? 정말 놀라운 기교를 보여주는 기타리스트. 물론 기교만 놀라운 건 아니다... (하지만 이분......조금 가벼워 보이는 건 사실이다....^^) 난....사실 이곡이 더 맘에 든다. 이 곡에서는 놀라운 하모닉스 실력을 보여준다... 정말 장난기 어린 연주......하지만 놀라운 실력에 뭐라 말할 수 없는 감동이.... 기타로 할 수 있는 모든 장르는 한번씩 선 보이는 것 같다.... 출생1955년 5월 31일 (오스트레일리아) 데뷔1988년 [Up From Down Under]수상1997년 북미 스무스 재즈 라디오 최우수 아티스트상경력1989년 호주 음악대사 에어 서플라이와 스티비 원더 앨범녹음, 공연 연주자 더보기
Wiimote IR Drums 제작기(1) 기존 Wiimote Drums은 Wiimote를 들고 연주를 하는 방식이었다. GlovePIE를 이용해서 직접 구현도 해 보았지만 실제 연주하는 느낌을 갖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accelerometer 대신 IR sensor 를 이용한 Drums을 개발에 들어갔다. 우선 IC114에서 IR LED를 구했다. 시행착오 끝에 wide beam angle을 가지고 있는 IR LED를 이용하면서 어느정도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프로그래밍..... 처음에는 GlovePIE를 이용했지만 역시나 스크립트 기반 프로토콜 변환은 한계가 있는 듯 하다. C# 라이브러리 WiimotLib 1.7을 이용해서 프로토타입 수준의 개발을 완료했다. 섬세한 악기의 구현에는 한계가 있겠지만 프로그램을 .. 더보기
울트라손(Ultrasone) HFI-15G 내 첫 입문용 헤드폰. 원래 집에서 기타 연주(모던락이나 재즈류)를 할 때, 사용하고 가끔 아웃도어로도 쓸 생각으로 몇가지 조건을 만들었다.. 1. 우선 10만원 안쪽으로....(사실 대부분 평이 10만원 안쪽에서 원하는 음질은 무리라던데...ㅡ.ㅜ) 2. 연주 청음 용인 만큼 해상도가 뛰어날 것.... 3. 강한 베이스보다는 맑은 소리 쪽으로.... 4. 디자인은 중요하지 않다. 음질이 좋다면 오픈형도 상관없다. 이것 저것 알아보다 보니 몇가지 후보군을 만들었다... 1. 젠하이저 PX-100 (\57,000) 오픈형, 가격대비 놀라운 음질(해상도)로 정평. 밀폐형인 PX-200와는 비교할 수 없는 음질이라는데..... 청음해보고 싶었지만, 기회가...... ㅜ.ㅠ 2. 오디오테크니카 ES7 중고(대략.. 더보기